The Order of Melchizedek
서양으로 건너간 팔괘의 원리 본문
아인슈타인이 자기의 학설에 붙일 명칭을 고심하다가 팔괘의 효를 구성하는 음양(陰陽)개념에서 힌트를 얻어 'Relativity'(상대성) 이라는 단어를 가려냈다는 것은 유명한 일화이다. 또한 그가 동료에게 보낸 한 편지글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다.
"유럽 과학의 발전은 두 가지의 위대한 성과를 기초로 하고 있다. 하나는 그리스의 철학자가 형식논리의 체계를 발명했다는 것과, 또 하나는 실험을 통해서 인과관계를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내가 보는 한 동양의 현철들은 비록 이 두 가지 길을 거치지 않았으나, 놀랍게도 동양에서는 그러한 것의 발견이 모두 이루어져 있었다." (참조 : 『역으로 본 현대과학』)
또 양자역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닐스 보어는 음양의 이치를 담은 태극문양에서 힌트를 얻어 양성자(+)와 전자(-)로 이루어진 원자모델을 발견하는 업적을 세웠으며, 후에 태극마크를 가문의 문장(紋章)으로 삼기도 했다.
동양의 지혜에서 발명의 힌트를 얻은 서양문명사의 또 다른 인물로 라이프니쯔가 있다.
라이프니쯔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4칙연산을 할 수 있는 계산기를 발명했다. 그 계기는 중국에 선교사 친구가 보낸 편지에서 우연히 두 장의'태극도'를 입수한 것이 시초였다. 그는 태극도의 64괘의 배열이 바로 0에서 63에 이르는 이진법 수학이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그 원리에서 계산기 작동의 힌트를 얻었다. 이 이진법의 원리는 오늘날 컴퓨터 문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코드가 되었다.
우주 만물의 변화와 그 변화패턴을 음양(陰陽)의 부호로 표시한 역철학은 그 외에도 현대과학의 기본원리가 되는 코드이론, 유전자 구조, 디지털 이론, 양자역학, 프랙탈 패턴, 홀로그래피 이론 등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음양오행, 태극사상 등으로 세분화된 역철학은 오늘날 정치·경제·사회·문화·의학 등 다방면에 걸쳐서 과학을 뛰어넘는 보다 위대한 진리체계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것이다.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 종말과 빅뱅 실험의 연관성 (0) | 2009.09.24 |
---|---|
세계 최초 빅뱅실험 빅뱅실험 개시 (0) | 2009.09.24 |
21세기 물리학의 방향을 결정하는 ‘힉스 입자' (0) | 2009.09.21 |
행성X 지구 대격변 (NASA 비밀보고서) (0) | 2009.09.21 |
한민족 창세기록 : 박제상『부도지(符都誌)』 (0) | 2009.09.21 |